왕의 초상화를 일컫는 말. 어진이라는 표현은 의외로 늦게 생긴 말이다. 본래 진용(眞容), 영정(影幀), 왕상(王像) 등 여러 가지 단어를 사용햇지만, 조선 숙종 39년(1713) 숙종 어진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 이이명(李頤命)이 건의하여 '어진'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했다.
기록이 남아있는 조선 시대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어진 제작은 도사(圖寫), 추사(追寫), 모사(模寫) 이렇게 3종류로 나뉜다. 다만 도사와 모사는 1713년 이전에는 모사(模寫)라는 단어로 구분 없이 사용되었다. 도사(圖寫): 왕이 살아있을 때 그 모습을 바라보며 그리는 것. 추사(追寫): 왕이 살아있을 때 그리지 못하여 사망 후 그리는 것. 모사(模寫): 왕의 어진이 훼손되었거나 새로운 진전에 봉안시에 기존의 어진을 본떠 그리는 것. 어진 제작을 위해 도감(都監)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왕실 종친들이 주도하는 종부시(宗簿寺)에서 관장하기도 했다. 또 전문 화원은 아니지만 미술에 조예가 높은 양반 신분 화가들이 유화(儒畵)라는 기술적 조언자로 참가해 잘못된 부분에 대해 조언을 해 주기도 했다. 직접 제작하는 화원을 어진화사(御眞畵師)라고 불렀는데 도화서 화원 가운데 뽑았지만 마땅히 사람이 없을 경우엔 민간의 화가중에 선발해서 그리게 하기도 하였다. 어진화사(御眞畵師)는 보통 6~7명 선이었지만 최대 13명까지 이를 때가 있었다. 어진화사 중에서도 집필화사(執筆畵師)와 왕의 몸 중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그리는 동참화사(同參畵師), 물감을 섞는 일을 돕는 수종화사(隨從畵師)로 나뉘어 있다. 2.1. 제작 과정[편집] 어진의 초본을 완성하면 비단 위에 먹으로 초본을 옮겨 채색을 한다. 채색이 끝나면 뒷부분을 종이로 배접하여 잘 말린 후 영정의 네 가장자리를 두르는 장황을 하고 뒷부분을 비단으로 배접한다. 옥축, 홍사유소[1], 봉안색환[2]등을 부착하고 마지막으로 표제(標題)작업[3]까지 마치면 어진 제작이 완성된다. 어진을 완성하면 길한 날을 골라 진전에 봉안했다. 진전은 임진왜란 이전에 총 6곳에 이르렀는데 한양의 문소전, (이성계의 고향인) 영흥의 준원전, 평양의 영숭전, 개성의 목청전, 경주의 집경전, (이성계의 본향인) 전주의 경기전에 영전들을 배치했다. 이는 한나라 한고조의 묘를 수도뿐만 아니라 군국에 분립하게 했다는 제도를 따른 것이다. 다만 나머지는 모두 임진왜란 때 불탔고[4], 경기전에 있던 어진만이 무사히 남았다. 경기전 어진은 병자호란 등 전쟁에서도 이리저리 옮겨다니며 화를 피했고 녔다고 한다. 영조 43년(1767) 전주성 안에서 큰 화재가 일어나 2300여 호가 불탔지만 이 화마마저 피하여 지금까지 살아남은 덕에 우리는 태조의 어진만큼은 볼 수 있다.
'h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바지 데님 여성 게스 슬림 (0) | 2020.04.10 |
---|---|
여자레깅스 아디다스 나이키 타이츠 우먼스 (0) | 2020.04.05 |
쉬폰블라우스 플라워 브이넥 시스루 시폰 (0) | 2020.04.01 |
여성바지정장세트 수트 자켓 팬츠 투피스 (0) | 2020.03.28 |
봄원피스 빅사이즈 롱원피스 플라워 루즈핏 (0) | 2020.03.24 |